일반뉴스 울산대·KAIST, 초고내구성 아연-공기 전지 개발
울산대학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함께 금속 용출 현상을 이용해 초고내구성 아연-공기 전지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울산대에 따르면 첨단소재공학부 정지원 교수 연구팀은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정우철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고효율 수계 아연-공기 전지'를 개발했다. 이들은 용출 현상을 통해 고성능, 저가격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을 만들어 수계 아연-이온 전지에 활용했다. 기존 아연-공기 전지의 방전과 충전은 효율 향상을 위해 백금, 루테늄, 이리듐 산화물 등 비싼 귀금속 촉매를 활용할 수밖에 없어 가격이 높고 내구성이 낮아 활용이 크게 제한됐다. 특히 일반적인 금속 촉매 코팅법은 아연-공기 전지의 반복적인 충·방전 구동에 따라 지지체로부터 쉽게 탈착돼 사용 기간이 지날수록 내구성과 촉매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추가적인 금속의 첨가 없이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내에 있는 금속 원소들을 용출시켜 표면에 단단히 결착시켰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용출 현상으로 표면에 부착된 금속 원소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의 촉매 효율성을 높인다고 검증했다. 또 금속 합금-페로브스카이트 하이브리드 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