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30일 '2023년 예산안'을 발표하고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4조600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4조6000억원 중 3조6000억원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혁신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 우선 민간에서 경쟁력과 시장성을 인정받아 투자를 받은 유망 벤처·창업기업에 대한 지원 예산을 올해보다 1000억원 증액한 4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팁스(TIPS) 지원 대상도 500곳에서 720곳으로 늘어난다. 국내 벤처기업과 글로벌 기업·대기업의 협력을 지원하는 데는 올해보다 155억원 늘어난 501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또 우수 중소기업에는 신성장 자금을 총 1조7000억원 공급하고 규제혁신과 제조환경 스마트화, 지식재산권 보호 등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 밖에 중소기업의 성장단계와 협업 종류에 맞춘 연구개발(R&D) 지원 예산을 올해 6000억원에서 내년 7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류 인프라도 신설한다. 정부는 아울러 소상공인의 '완전한 회복'과 재기를 지원하는데 1조원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소상공인 대상 채무조정 프로그램 추진에 3
중소벤처기업부가 원자력발전소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데 총 215억원을 투입한다. 중기부는 10일 이러한 내용의 '2022년 원전 분야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계획'을 확정했다. 중기부는 원전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필요한 '중점품목'을 지정해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사업비 30억원),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150억원),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35억원) 등을 통해 해당 품목 개발에 총 21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중점품목은 원전분야 전문가 13명으로 구성된 '기술혁신 연구반'이 검토해 원전용 지진분리 장치, 제염용 로봇, 수중점검 로봇 등을 중기부에 제안했다. 중기부는 또 한수원과 3년간 72억원 규모의 '공동투자형 기술개발 투자기금'을 조성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한수원과 조성한 투자기금은 차세대 원전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조주현 중기부 차관은 이번 계획을 발표하면서 "매출·인력 급감으로 위기에 직면한 원전 분야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갖추는 한편, 미래 원전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시장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