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여파로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금액지수가 1년 전보다 11% 이상 떨어졌다. 반대로 유가 강세 등과 더불어 수입금액지수는 약 3% 올라 교역조건이 더 나빠졌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달러 기준) 통계에 따르면 11월 수출금액지수(124.58·2015년 100 기준)는 1년 전보다 11.3% 하락했다. 앞서 10월(-6.6%) 24개월 만에 처음 떨어진 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내림 폭도 2020년 5월(-25.0%)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품목별로는 컴퓨터·전자·광학기기(-25.4%), 1차금속제품(-21.7%), 섬유·가죽제품(-19.0%), 화학제품(-17.0%) 등의 내림 폭이 컸다. 반면 석탄·석유제품(26.8%), 자동차 등 운송장비(21.8%) 수출금액지수는 올랐다. 수출물량지수(118.31)도 1년 전보다 6.3% 떨어졌다. 금액지수와 마찬가지로 2020년 5월(-14.8%) 이후 2년 반 만에 가장 높은 하락률이다. 주로 섬유·가죽 제품(-18.6%), 화학제품(-10.3%) 부진에 영향을 받았다. 운송장비의 경우 수출물량지수도 23.2% 급등했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반도
파운드리 업계, 생산 확대 위한 비용 확보 등의 이유로 가격 상승 불가피 전 세계적 공급 부족으로 반도체가 들어간 제품들의 가격이 이미 상승한 가운데 앞으로 이들 제품이 더 비싸질 전망이다. 반도체를 위탁생산하는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미국 인텔 같은 파운드리 회사들이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매체 CNBC는 24일(현지시간) 반도체 업계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TSMC와 삼성, 인텔 등 메이저 파운드리가 추가적인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베인 세미컨덕터의 애널리스트 피터 핸버리는 "파운드리들은 이미 지난해 가격을 10∼20% 올렸다"면서 "우리는 그보다는 소폭(5∼7%)이지만 올해에도 또 한 차례 가격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핸버리는 파운드리들의 가격 인상은 일정 부분 수요 증가 때문이기도 하지만 생산 확대를 위한 비용 때문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화학물질 가격이 10∼20% 오른 데다 반도체 생산설비를 건설할 인력이 부족해 이들의 임금을 올렸다는 것이다. 닛케이 아시아는 최근 TSMC가 고객사들에 가격을 올릴 계획이라고 통지했다고 보도했다. 채 1년도 안 돼 두 번째 가격 인상을 고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