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자동차용 가솔린 엔진은 경량이고 우수한 출력특성 때문에 사람들의 이동 수단 진보와 함께 발전해 왔는데, 이산화탄소 배출에 의한 지구온난화 문제, 석유 자원 소비에 의한 에너지 자원 고갈 등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들 과제의 개선책 중 하나는 엔진의 열효율 향상에 의한 저연비화이다.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 향상 대응에는 린번화, EGR 등이 유효한 수단으로, 특히 최근 린번화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데, 그 추구에는 연소 속도의 저하, 불안정한 착화, 연소의 사이클 간 변동 증대에 의한 운전 영역 제한 등 극복해야 할 과제도 많다. 또한, 자동차용 엔진은 연소에 의한 고온 열원을 이용하는 기관이므로 엔진 통내 벽면을 통한 냉각 손실은 피할 수 없으며, 더구나 벽면과 통내 가스의 열적 왕래는 노크 발생 요인에도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에 벽면과 통내 가스 간의 전열 문제는 엔진 개발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과제이다. 연소 속도 저하의 극복을 위해서는 통내 유동 강화에 의한 난류의 고강도화로 화염 전파 촉진을 도모하는 것이 최근의 개발 동향이다. 한편, 통내 유동 강화는 점화
저항이라는 단어의 이미지에 비해 전기저항 R은 아주 부지런한 일꾼이다.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려는 작용이 열로, 빛으로 나타나 전열기나 전구 등에서 많은 일을 한다. 그리고 저항은 그 값에 따라 도체와 절연체로 구분된다. ① 도체 : 전기저항이 작아 전류가 흐르기 쉬운 것 ② 절연체 : 전기저항이 커서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 것 전기저항의 값이 낮은 것은 오른쪽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은과 구리이다. 따라서 전선으로는 구리선이 사용된다. 은도 오디오 제품 등에서 흔히 사용된다. 반대로 저항이 큰 자기(磁器)는 애자(?子) 등에 사용된다. 게르마늄이나 실리콘 등과 같이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 것을 반도체라고 하고 여러 가지의 특성을 갖고 있어 트랜지스터나 컴퓨터 등에서 크게 활약한다. 전기회로의 저항을 접속하는 방법에는 직렬접속과 병렬접속이 있고 그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다. 이것은 옴의 법칙으로 증명된다. ① 직렬접속 R=R1+R2+R3+… ② 병렬접속 합성저항은 직렬일 경우엔 각 저항의 합과 같고 병렬일 경우엔 각 저항의 역수의 합과 같은 것으로 정의된다. 조금 복잡한 것이 병렬접속인데 R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포인트 무서운 전기로부터 감전을 방지하는 중요한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 젖은 손으로 전기 기구나 스위치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 덮개가 파손된 콘센트나 스위치는 곧바로 바꾸도록 한다. ● 배선이나 코드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심선이 보일 때는 바로 수리하자. 수리는 반드시 콘센트로부터 플로그를 빼낸 다음 한다. ● 코드끼리 연결할 때는 반드시 코드 커넥터를 사용한다. ● 어린 아이가 콘센트 등 전기 기구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전기세탁기는 접지를! 가정용 전기 기구 가운데 물을 사용하는 전기세탁기 등은 내부의 모터에 물이 스며들면 전기 절연이 불량해져 누전될 수 있다. 이같은 상태의 전기세탁기를 사용하면 갑자기 감전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전기세탁기에는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이 접지(어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만일 누전되도 접지선을 통하여 누전 전류가 땅으로 흐르기 때문에 감전될 염려가 없다. ▲ 그림 1. 전기세탁기의 감전을 방지하려면 접지한다 전기세탁기를 접지하려면 <그림 2>와 같이 접지형 콘센트 및 접지형 플러그를 이용하든가, 또는 세탁기의 접지 단자에 접지선을 직접 저속하여
[첨단 헬로티] 애플의 2018년 신제품인 아이폰XS 맥스는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X와 비교해 스마트폰 디자인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업그레이드됐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아이폰XS 맥스 A1921 버전은 64GB의 낸드(NAND) 메모리 등이 탑재되면서 부품원가(Bill of Materials, BOM)은 390 달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작년에 출시된 아이폰X 보다 부품원가가 20 달러 높은 가격이다. 아이폰XS 맥스에 탑재된 반도체 부품을 알아보자. 디스플레이 아이폰XS 맥스에는 삼성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6.5 인치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됐다. 터치 스크린 기능의 포함된 전체 디스플레이 비용은 120 달러로, 작년의 아이폰X의 5.8 인치 디스플레이 가격과 유사하다. 이 가격대는 작년 5.8 인치 OLED 디스플레이와 올해 5.8 인치 버전 사이에서 OLED 디스플레이의 가격 하락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올해 출시된 아이폰의 OLED 디스플레이 모델의 터치 오버레이에 대한 120Hz 재생 빈도가 이전 아이폰의 재생 빈도보다 두 배 빠르다.
[첨단 헬로티] AI가 이직 위험을 사전 경고, 기업 조기 대응 가능 인력부족을 고민하는 일본 기업들은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직을 원하는 직원을 사전에 감지해 케어하고 성희롱 상사를 찾아내어 조기 대응하는 등 AI를 활용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도모하는 일본 기업들의 대응 방식을 살펴보겠다. 이직 위험을 경고해주는 일본의 AI 의료 사무를 전문적으로 위탁·운영하는 ‘솔라스트’사는 2017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인사업무에 AI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직원 이직률은 기존 37%에서 절반 이하인 16%로 감소 효과를 얻었다. 솔라스트는 AI는 ‘FRONTEO’사가 개발한 클라우드 서비스 ‘KIBIT’을 사용했다. 솔라스트는 AI로 매주 분석해 이직 위험도가 높은 직원 1~2명을 찾아내고 팔로우 면담을 제공함으로써 이직률이 반으로 줄어드는 성과를 얻어냈다. 솔라스트는 신인 스태프에 대해 연 7회 정기면담을 실시했고, 이 면담기록을 AI가 분석해 이직 위험률이 높은 스태프를 발견했다. 이를 위해 과거 이직한 스태프 발언 내용과 사내
[첨단 헬로티] 개인적으로 임베디드 그래픽 디자인에서 가장 까다로운 구성요소 중 하나는 프레임 버퍼 메모리라고 생각한다. 메모리는 대용량에 빠르고 저렴해야 한다. 하지만 임베디드 그래픽 디자인에 메모리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종종 이들 조건에 대한 절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절충안은 기껏해야 비용 상승과 수익성 하락을 불러오는 값비싼 골칫거리가 되며, 심지어 성공적인 디자인 완성을 위해 디자인을 아웃소싱하거나 새로운 인재를 고용하고 교육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사용해 임베디드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고밀도, 고성능 메모리를 통합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통합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임베디드 그래픽 디자인에 MCU를 사용하면 MPU (Microprocessing Unit) 아키텍처를 사용할 때에 비해 여러 장점이 있다. 특정 수준의 GUI에서는 MPU 아키텍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MPU로의 전환에 필요한 별도의 비용과 교육 없이도 여전히 많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효과적인 GUI를 실행할 수 있다. MCU 사용의 가장 큰 장점은 표준 MC
[첨단 헬로티] 전자전(Electronic Warfare, EW) 리시버 시스템, 특히 신호 정보(Signal intelligence, SIGINT)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갈수록 더 높은 대역폭과 더 작은 크기, 경량, 저전력(SWaP)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EW 시스템 설계자들은 계속해서 보다 향상된 고속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기술을 찾아왔다. 65nm ADC는 성능과 대역폭이 공정 자체의 한계에 도달했는데, 새로운 28nm RF ADC가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차세대 광대역 리시버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28nm 공정 노드는 트랜지스터 폭이 축소되고 기생성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더 빠른 샘플링 속도와 더 넓은 아날로그 입력 대역폭, 디지털 기능 통합, 새로운 리시버 아키텍처 구현이 가능해 전력 소모와 전반적인 크기를 줄여준다. 28nm ADC의 이점 현대전에서 광대역 EW 시스템 사용이 갈수록 늘어남에 따라서, 차세대 EW 리시버가 필요로 하는 고성능과 더 낮은 SWaP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시스템 설계자들의 과제가 됐다. 고속 ADC는 모든 광대역 EW 리시버 설계에서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로서, 시
[첨단 헬로티]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에 임베디드 비전 기술이 급속하게 확산될 것 '임베디드 비전'은 시각적 수단을 통해 환경을 이해하는 기계에서 컴퓨터 비전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 비전은 디지털 처리 및 지능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컴퓨터 비전은 지난 수십년 동안 주로 학술 연구 분야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큰 변화가 진행 중이다. 매우 강력하고 저렴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프로세서가 등장함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 모바일 장치, PC 및 클라우드에 실제 컴퓨터 비전 기능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향후 몇년 동안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에 임베디드 비전 기술이 급속하게 확산될 것이다. 임베디드 비전이 각 산업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은 어떤지 살펴보도록 한다. ▲ 임베디드 비전은 자동차, 가전, 로봇, 드론 등 각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 분야의 임베디드 비전 ‘ADAS’ 자동차 산업의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은 주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에 사용된다. 현재 개발 초기 단계에 있는 ADAS 기술은 완전히 자율적이고 운전자 없는 차량
[첨단 헬로티] 비디오젯 대문자 마킹기 새로운 인쇄 시스템에 투자하면 펄프 및 종이 설비가 고객의 변화하는 코드 요구사항을 충족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운영 효율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지난 20년간 산업용 잉크젯 환경이 변화해 오면서 새로운 인쇄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 기간 동안 비디오젯(Videojet)은 대문자 마킹 프린터(LCM)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인쇄 솔루션에서 선도 공급업체가 되었다. 해결 과제 해외로 수출하는 펄프 및 종이 공장의 수가 증가하면서 공장 및 최종 고객의 요구사항이 변하고 있다. 그 결과 바코드 사용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제품 및 생산 정보의 인쇄 필요성이 증가했다. 또한 묶음에 직접 인쇄하여 고객 정보와 고객의 구체적인 요청사항을 시기적절하게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은 최종 고객에 대한대응력을 높이는 차별화된 장점이다. Videojet은 다양한 LCM 인쇄 제품과 잉크 사용을 통해 적용분야 요구사항을 더 정확하게 충족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잉크 전문 연구팀에 상당한 투자를 해 온 비디오젯은 펄프 및 종이 산업용으로 특별히 고안된 잉크와 비디오젯팀의 전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수년간 Marsh 프린터는 제품 품질과 안정성으로
[첨단 헬로티] 센서 간의 스캔 동기화 및 얼라인먼트 보정, 스티칭 기능은 중요한 기술 멀티 네트워크 시스템의 필요성 오늘날 인라인 품질관리에서 단일 센서의 FOV보다 큰 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는 비전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건축자재, 전자부품(PCB, 테블릿, 노트북), 큰 자동차부품 또는 반제품(도어, 엔진블록, 실린더헤드), 원자재 패널 등이 있다. 마이크로 단위의 측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넓은 대상물의 정밀한 측정에 사용되는 3D센서는 단일센서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멀티 네트워크를 사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멀티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센서 간의 스캔 동기화 및 얼라인먼트 보정, 스티칭 기능은 중요한 기술이다. 멀티 네트워크 센서의 6가지 켈리브레이션의 중요성 멀티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센서 간의 측정 데이터의 오류를 보정하는 것에 있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센서 간의 수평 및 기울기 등이 한치에 틀어짐도 없이 맞아야 한다는 점인데, 이는 현실적으로 시스템 적용하는 환경에 따라 상당 부분 구현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측정 소프트웨어 보정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3D 개발단계에서
[첨단 헬로티] 블록체인 거래나 보상, 기부 등에 결제 시스템 필수 1. 들어가면서 필자는 지난 호부터 블록체인에너지 비즈니스모델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이번 호에서는 그림 1의 블록체인에너지 비즈니스모델 유형 다섯 가지 중에서 전력공급 결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16년 정부가 마련한 개정안 내용은 전기자동차충전사업·소규모전기공급사업 및 소규모전력중개사업 등 세 가지 사업을 전기 신사업으로 규정하고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등록한 뒤 전기 신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었으며 올해인 2018년 5월 29일, 이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소규모 전기공급사업이 가능해지게 되며 전력공급을 위한 결제 시스템이 필요해지게 된다. 이는 마치 초기 전자상거래가 허용되면서 결제 시스템이 필요해 페이팔 등이 등장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본 고에서는 선두적 스타트업으로 솔라코인(Solarcoin)과 뱅키문(bankymoon)을 소개한다. ▲ 그림1.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비즈니스모델 유형 및 기업 유형화 출처: http://www.emerton.co/blockchain-in-the-energy/ Oct.1
[첨단 헬로티] LAON PEOPLE’s 머신러닝 아카데미 (7) 머신비전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머신러닝, 딥러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기존의 컴퓨터비전 기술로는 어려웠던 검사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자기 학습’으로 보다 빠르고 쉬우며 신뢰성과 유연성을 갖춘 머신비전 검사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머신비전 전문업체인 라온피플은 ‘LAON PEOPLE’s 머신러닝 아카데미’를 통해 인공지능의 대표적인 기술인 머신러닝 기술에 대해 연재한다. LeNet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古典 Yann LeCun과 그의 동료 연구원들은 기존의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이 갖고 있는 한계를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것들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지난 회차에서 살펴보았듯이, fully-connected neural network이 machine learning에 손색이 없는 알고리즘이기는 하지만, topology 변화에 대응이 어
[첨단 헬로티] 기술발전과 의료시스템 혁신 간에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준 필요 Ⅰ. 서언 급속한 인구고령화 현상은 고령인구의 유병기간이 늘어나면서 의료비 부담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질병의 진단·치료에서 예방·사후관리 중심의 헬스케어(Health care)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나아가 사회적 약자(실버세대나 장애인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안전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라이프케어(Life care)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1][2][3][4]. 이 연구에서는 2000년 고령화사회 17년 만에 2017년 8월말 고령사회에 진입한 인구고령화로 인한 맞춤형 생활서비스 등 라이프케어 서비스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토대로 맞춤형 질병치료를 통해 의료비절감 및 환자만족도를 향상시켜가고 있는 라이프케어 서비스 개발동향 및 효과분석 정보를 제시한다. 아울러 초대용량의 의료 빅 데이터 둥 개인정보의 공유 및 보안에 따른 법적·제도적 이슈 등 라이프케어 서비스 주요 이슈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토대로 ICT 기반의 라이프케어 서비스 운용성과 고용창출의 양면성(긍전적/부정적) 등 라이프케어 서비스 산업의 발전방향과 시사점을 제시
[첨단 헬로티] 햅코모션의 HDRT(중하중 링 가이드 및 트랙 시스템)는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특별히 개발됐다. HDRT 가이드 시스템은 매우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안정적이고 정확한 운동과 함께 마모현상도 거의 없다. 고압 강철 실린더의 선도 제조업체인 Eurocy-linder Systems AG에서 HDRT 가이드 시스템은 다량의 오염 물질 및 잔류물이 있는 까다로운 생산 환경에서 그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았다. ▲ 중하중 링 가이드 및 트랙 시스템 Eurocylinder Systems AG는 금속 가공 업계의 중견 기업이다. Eurocylinder는 기술, 화재 예방, 다이빙, 음료 및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압축, 액화 및 용해된 압력 가스의 저장 및 운송을 위한 고압 강철 실린더를 생산한다. 고압 강철 실린더 생산 고압 강철 실린더는 강철 튜브로 만들어진다. 강철 튜브는 필요한 길이(8~12m 사이)의 케이스에 절단된다. 벽두께는 3~9mm까지로 다양하며 6개의 서로 다른 직경(140, 172, 178, 204, 229 및 267mm)이 있다. 공장에서는 하루에 약 1000개의 케이스가 절단되며, Eurocylinder
[첨단 헬로티] 산업용 IoT(IIoT)가 가속화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다. 기업들은 폐쇄형 네트워크에서 점점 공용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IT 네트워크로 전환한다. 이렇게 하면 운영 효율성은 향상되지만, 한편으로는 사이버 보안에 관한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산업 제어 시스템 사이버 보안 긴급 대응팀(ICS-CERT)이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접수된 사고가 2015년에는 295건으로 전년도의 245건보다 늘어났다. 특히 제조 분야에서는 2014년에 발생한 전체 사고 중 27%에서 2015년에는 33%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그림 1). 그러므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안전한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사이버 보안 솔루션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늘어난다. ▲ 그림 1 제조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버 공격 사이버 보안 표준의 발전 2002년 ISA(국제자동화협회)는 자동화 산업 분야 기업들이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 받는 방법을 정의한 ISA-99 표준을 발표했다. 15년 전 사이버 보안은 오늘날처럼 중요한 문제는 아니었다. 하지만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