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C 방전가공기 S2200-2H는 견고한 주물로 자동차 금형 등 대형 금형에 적합한 제품이다. 정밀 방전가공부터 범용처럼 조작이 편리하며, 3축 고정도 L/M 가이드, 더블 연삭 볼스크류를 채택했다. MPG 조그핸들 사용으로 X, Y, Z축 중·저속 이송이 용이하며, 입력식 프로그램 방식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였다. 그라파이트 방전가공 시 고속 가공이 향상되고, 리브 및 구배가공 시 안정된 방전가공이 가능하며, 고속 롱점프 기능으로 칩 배출이 용이하다. 임근난 기자 (fa@hellot.mediaon.co.kr)
EZ15S는 침수식 와이어컷 방전가공기로, 고정도 고속의 실용적인 사이즈이다. 플렉시블 PCB, 핸드폰 금형 등 고정밀 가공에 적합하며, 3차 가공에서 Ra 0.3μm의 면조도를 실현한다. 와이어 자동결선장치가 기본 장착되어 있어 가공 중에 단선위치에서 결선이 가능하다. X, Y축에 리니어모터를 적용했으며, 정밀 코너 제어가 가능하고 Z축 연동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 컨트롤러 팬으로 소음을 최소화했으며, 휠터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켰다. 임근난 기자 (fa@hellot.mediaon.co.kr)
시간대별 에너지 공급비용 반영 … 동태적 요금제의 사업모델 촉진 에너지 신산업은 에너지 효율 향상,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거나 에너지 공급, 수요관리를 혁신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으로 에너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유수 연구위원은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년도 연구성과 발표회에서 에너지 신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시장의 가격기능 정상화, 시장의 진입장벽 철폐, 통합적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에너지 신산업의 기본정책 방향으로 정부의 규제 개혁과 함께 에너지 시장 개방, 요금자유화, 정보 개방 등을 제시했다. ▲ 이유수 연구위원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와 신산업 모델 에너지 시스템은 국제유가가 급락하고 신재생에너지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대내여건으로는 에너지 설비확충과 안전성 강화로 사회적인 갈등이 빚어지고 비용 상승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작년 12월, 파리협정에 의한 신기후체제를 체택해 저탄소경제 전환을 촉구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목표(BAU 대비 37%) 제약 하에 경제성장 재도약을 실현하고 있다. 에너지 신산업은 에너지 공급, 수요관리를 혁신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이다. 전통적 에
ⓒGetty images Bank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전 세계 스마트카 시장 규모가 오는 2017년에 2740억 달러(약 310조47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다. 이를 예측이나 했듯이 지난 몇 년 사이 TI를 포함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서로 앞 다투어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 주력하기 시작했으며, 반도체 업체뿐만 아니라 관련 비즈니스를 창출해낼 수 있는 업계에서도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기회를 엿보고 있다. ▲ TDA2Eco LVDS 서라운드 뷰 블록 다이어그램. ■ TI, ADAS와 인포테인먼트 시장 선도할 것 TI는 성큼 다가온 차세대 스마트카 시장에 주력이 되고 있는 ADAS와 인포테인먼트 기술을 중점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TI는 혁신적인 오토모티브 핵심 기술 및 신제품을 꾸준하게 선보이며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있는 솔루션으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TI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엔트리카와 중형차에서 보다 업그레이드된 서라운드 뷰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차량용 시스템온칩(SoC) 제품군의 TDA2Eco 프로세서는 다른 TDA
스마트 커넥티비티 특허동향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전체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면, 1988년에 IEC 61158-4-11 규격 및 IEC PAS 62406 규격 관련 표준 필수 특허출원을 시작으로 1998년부터 2008년 사이에 IEC TC 65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5.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국가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특히,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특허 출원량을 보이고 있는 2008년에는 IEC 6259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5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IEC 61158-4-24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17건, IEC 61158-4-24 관련 표준 필수 특허 출원량이 5건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IEC TC 65 표준 필수 특허 관련 특허출원에 있어, 미국특허 및 유럽특허가 각각 179건(37%), 134건(28%)으로 가장 많은 출원량을 보였다. ▲ 그림 6.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IEC TC 65 표준 필수 특허 출원인 국적별 특허출원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보면, 한국, 미국, 유럽, 국제(WO) 특허 모두 2008년도에 가장 높은 특허 출원량을
산업 데이터 특허동향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의 전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1980년대 후반부터 특허출원이 시작되었고, 2000년대 초반 들어 그 특허 출원량이 급증하면서 2001~2002년 가장 많은 특허출원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특허 출원량이 감소하고 있다. 미공개 구간 고려 시에도 향후 급격한 증가 없이 점차 특허 출원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림 3. 산업 데이터 연도별 특허출원 현황 국가별로 살펴보면, 일본이 173건(45%)으로 전체 특허 출원량의 절반 가까운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미국이 122건(32%)의 특허 출원량을 보였다. 한국, 유럽 및 PCT의 경우 9~7%의 대동소이한 특허 점유율을 나타냈다.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를 특허의 정량적 분석 결과만 보았을 경우 어느 정도 완성된 기술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미국이 적극적인 R&D 투자로 타 국가에 비해 기술적 우위가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 그림 4. 산업 데이터 기술 분야 국가별 출원 현황 산업 데이터 기술에 대해 국가별 출원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2000년대 초반 특허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이후 최근 들어서는 특허 출원량이 미미한 상태이며
스마트공장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특허전쟁이 시작됐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관련 유효 특허는 총 1,842건이며, 공정모델의 경우 미국이 157건으로 가장 많았고 산업 데이터는 일본 173건, 스마트 커넥티비티는 미국과 유럽이 각각 179건, 134건이었으며, 보안은 미국이 350건 등 선진진영의 출원이 봇물을 이뤘다. 이 보고서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분석 대상을 공정모델, 산업 데이터, 스마트 커넥티비티, 산업용 통신 보안 4가지로 진행됐으며, 분석 대상 특허는 2015년 10월까지 공개된 특허이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및 국제특허(PTC)를 포함했다. 그 내용을 정리했다. 공정모델 특허동향 공정모델 분야의 전체 특허출원동향을 보면 산업발달과 함께 우상향으로 점진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출원(157건, 46%)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산업 데이터 분야(35건, 9%)나 보안 분야(25건, 4%)와는 다르게 한국 내 출원 건이 71건(21%)으로 비교적 많은 것과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라 하겠다. ▲ 그림 2. 공정모델 각 출원인의 출원 점유율 현황 국가별 출원 추이를 보면 좀 더
신기후체제, 에너지산업과 시장에 혁명적인 전환 요구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최근 밀레니엄 서울힐튼호텔에서 ‘Post-2020 신기후체제의 도전과 대응’이라는 주제로 신기후체제 따른 에너지·기후변화정책 방향, 기후변화, 세대간 정의 그리고 사회적 할인율에 대해 발표했다. 여기서는 Post-2020 온실가스 감축 기여 유형 분석에 대한 기후변화연구실 이상준 부연구위원의 발표를 정리했다. ▲ 기후변화연구실 이상준 부연구위원 POST-2020 신기후체제 지구 평균 기온은 계속해서 상승 하고 있으며 지구의 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우려하는 상황이다. 대기와 대양의 온난화로 눈과 빙하의 양이 줄어들고 온실가스 축적이 증가하고 있어 지난 30년간 매 10년 지표 평균 기온이 1850년 이후 어떤 시기보다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는 현상이 관측됐다. IPCC 5차보고서에 의하면 기후변화에 인류의 영향이 분명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평균기온이 0.89℃씩 상승해 해수면이 19cm 올라갔고, 온실가스 배출추세가 지속될 경우 21세기 말까지 해수면은 63cm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대비해 2100년까지 기온
자율주행차는 말 그대로 자동차가 스스로 교통 상황을 판단해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행하는 차량을 말한다. 최근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자사의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한 차량 출시에 혈안을 올리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자율주행차의 핵심 중 하나인 레이더 시스템에 대해 소개한다. 레이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운전은 수년 간 점점 더 안전해지고 있다.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우리는 심각하거나 치명적인 상해를 초래하는 도로 교통사고 수치가 크게 줄어드는 것을 보아왔다. 이러한 추세는 브레이크 잠김 방지 장치(ABS 1978), 전방 에어백(1980), 측면 에어백(1996)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최근에는 안전 시스템과 관련해 더욱 향상된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향상된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거나 보다 적극적으로 운전 과정에 개입함으로써 충돌을 피하거나 충돌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종류의 안전 시스템의 예로는 보행자 탐지, 차간거리 경고, 사각지대 지원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많은 안전 시스템은 매우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전자파를 송수신하는 레이더 칩을 사용하는 레이더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다른 대부분의 카메라 기반, 운전자 지원 기술에 비해
완전자율주행 레벨4 속속 등장 … 자율주행차 경쟁 불붙었다 구글과 애플 등 IT기업은 물론이고, 볼보도 일찌감치 자율주행차량의 주행테스트를 시작했다. 또 최근에는 아우디, 벤츠, 렉서스도 자율주행 레벨 3~4 단계의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자율주행차를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앞으로 10년, 아니 5년 내에 가정에서도 자율주행차를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기리에 종영한 ‘태양의 후예’ 14화에서는 극중 인물인 서대영(진구) 상사와 윤명주(김지원) 중위가 드라이브 데이트를 즐기는 모습이 시청자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 장면에서 진구가 운전 중 버튼 하나를 누른 후, 조수석에 앉아 있는 김지원과 키스를 나눈다. 자칫 ‘사고라도 나면 어쩌나’하는 생각이 들 수 있겠지만, 차는 차선을 넘지 않고 스스로 안전하게 주행을 한다.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태양의 후예에 등장한 자율주행차 제조사인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태양의 후예’에 등장한 제네시스 모델에는 자율주행 기술 중 하나인 차선유지 지원 시스템(LKAS)이 탑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
지난 수십 년 동안 눈에 띄는 성장을 거듭해온 분야로 인포테인먼트를 꼽을 수 있다. 미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은 연결성을 ‘커넥티드 카’라고도 부르며, 소비가전, 인터넷, 차량 및 도로망 통신을 3가지 주요 축으로 구분한다. 이 글에서는 최종 스마트카를 위한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발전 동향을 알아본다. 인포테인먼트의 진화 자동차 관련 사업 중 지난 수십 년 동안 눈에 띄는 성장을 거듭해온 분야로 인포테인먼트를 꼽을 수 있다. 최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경계는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이전에는 AM/FM 라디오 수신, 경로 안내, 교통 메시지 등의 정보(INFOrmation)나 압축된 음악과 같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콘텐츠, 또는 핸즈프리 전화통화가 가능한 통신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모바일 네트워크와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디지털 허브로 전환되고 있다. 미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은 연결성(connectivity)은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라고도 불리며, 이는 소비가전, 인터넷, 차량 및 도로
공장이나 제조 분야뿐만 아니라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일반적인 국제표준으로는 ISO/IEC JTC1(Joint Technical Committee) SC(SubCommittee) 27에서 다루고 있으며, WG 1(Working Group 1) ISO 27001 ISMS ~ WG 5 Privacy에서 보안 분야 전체에 대한 표준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공장 표준화단체의 작업그룹에 분야별로 표준 전문가들이 참여 중이나, 정보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TC, SC, SG 등의 작업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안 전문가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 스마트공장 사이버 위협에 대한 제어시스템 환경의 방어를 위해 소프트웨어 안정성(보안) 표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산(Production)과 제조(Manu-facturing)라는 용어는 산업 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특별한 의미 차이를 두지 않고, 사람들의 언어 습관에 따라 쓰이고 있다. 따라서 생산관리, 생산공정, 제조공정, 생산 지원 시스템, 제조 지원 시스템 등과 같이 각 용어들이 같은 뜻으로, 또는 현장에서 쓰이는 습관에 따라 의미 차이를 갖고 생산과 제조가 혼용되고 있다. 스마트공장과
신재생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 30개국 250개사 참가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지난 4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성공리에 개최됐다. 이번 엑스포는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가 공동 주최했으며, 엑스코와 한국에너지신문사,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 한국수소산업협회, KOTRA 등이 주관했다. 지난해 파리기후변화회의를 계기로 우리나라 정부가 현재 1조 5천억원 수준의 에너지 R&D 투자를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5년 내에 두배로 확대키로 결정한 가운데,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에 국내외 기업들의 신기술과 신제품이 대거 전시됐다.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지난 4월 6일부터 8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신기후체제의 등장에 따른 세계 각국의 대응노력을 소개하고,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기업의 혁신기술과 첨단제품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는 26개국에서 264개사가 참가해 750개 부스를 설치했고, 25,320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 주요 참가기업으로는 세계 3위의 태양광업체인 JA Solar를 포함한 중국 기업 17개 업체가 참가해 한국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또 태양광 분야 150년의 역사를 가진
세현교역은 광학측정장비를 전문으로 공급하는 업체이다. 실장 검사, 샘플 또는 양산제품 검사 등 외관 검사를 위한 2D 현미경, 3D 측정기, USB 현미경 등을 취급하고 있다. 30여 년간 현미경과 확대경을 위주로 공급해왔고, 최근 롤러 등 클린룸 관련 제품도 함께 취급한다. 양유민 과장에 따르면, 올해 주력 제품인 3D 측정기는 중국 시장에서 인정받은 제품이며 국내에는 세현교역을 통해 첫 선을 보이는 것이다. 고객사 취향에 따라 제품 사양을 달리 하여 제공하는데, 모터의 경우 일본이나 대만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옵션으로 제공하는 프로브는 독일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비접촉식 레이저 프로브도 공급 가능하다. 정밀도는 최고치인 1만분의 1을 주로 공급하며, 소프트웨어도 자체 개발 및 업데이트를 해드린다. 또한 세현교역의 양유민 과장은 “카메라와 모니터, 그리고 PC까지 내장된 일체형 광학 장비는 사용 편리성이 높기 때문에 최근 올인원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며,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 기반만 있었던 데에서 발전해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것도 올해 4월에 개발 완료된다”고 전했다. 한편, 세현교역이 취급하는 US
스마트공장에 가장 기반이 되는 공정모델은 수요정보 면에서 본 생산 형태에 따라 고객이 제품 시방을 결정하는 주문생산방식과 생산자가 제품의 시방을 결정하는 예측 생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생산의 반복성으로 본 단속 생산, 개별 생산, 로트 생산, 연속 생산 및 대량 생산 형태로 구분하고, 품종과 생산량에서 본 소품종 대량 생산, 다품종 소량 생산 형태, 생산 흐름의 연속 여부에서 본 단속 및 연속 생산 형태와, 생산량과 기간에서 본 프로젝트 생산, 개별 생산, 대량 생산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공정모델의 표준화 주요기술과 시사점을 소개한다. 스마트공장은 연관된 전방 및 후방산업 주체들과 기능 등이 서로 연동되어 하나의 제품에 대해 주체들이 하나의 가치 사슬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위해 수평과 수직 간의 고도화와 지능화가 필요하다. 스마트공장은 궁극적으로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판매 등 전 과정이 IoT, CPS, IoS 등의 ICT와 융합하여 자동화 정보화되어 가치사슬 전체가 실시간 연동 통합됨으로써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인간 중심의 작업환경을 구현하고, 최적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라고 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