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인텔 파운드리 리더십 구조는 변경되지 않아" 인텔은 오늘 팻 겔싱어 CEO가 40년 이상의 경력을 마무리하고 2024년 12월 1일부(현지 시각)로 회사에서 은퇴하고 이사회에서 물러난다고 발표했다. 인텔은 이사회가 새로운 CEO를 찾는 동안 임시 공동 CEO로 데이비드 진스너(David Zinsner)와 미쉘 존스턴 홀타우스(Michelle (MJ) Johnston Holthaus)를 임명했다. 진스너는 수석 부사장 겸 최고 재무 책임자(CFO)이며, 홀타우스는 인텔의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CCG), 데이터 센터 및 AI 그룹(DCAI), 네트워크 및 에지 그룹(NEX)을 아우르는 신설된 그룹인 인텔 프로덕트의 CEO로 임명되었다. 인텔의 독립적인 이사회 의장인 프랭크 예리(Frank Yeary)가 전환 기간 동안 임시 회장직을 맡게 된다. 인텔 측은 인텔 파운드리 리더십 구조는 변경되지 않는다고 밝히며, 이사회는 구인위원회를 구성하여 겔싱어를 잇는 후임자를 찾기 위해 성실하고 신속하게 노력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프랭크 예리는 “이사회를 대표하여 기술 리더십 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인텔에 헌신하고 봉사해 온 팻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팻
텐센트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필요한 차세대 기후 기술과 핵심 역량 육성을 위해 ‘카본엑스(CarbonX) 프로그램 2.0’을 론칭한다고 밝혔다. 텐센트는 카본엑스 프로그램 1.0을 통해 중국 내 유망 기후 기술을 발굴하는 성과를 창출한 데 이어, 이번 프로그램 2.0에서는 대상을 글로벌로 확대해 전세계 유망 혁신 기술을 발굴하고 이를 위한 자금과 리소스를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텐센트는 지구 온난화 억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탈탄소화가 필요하지만 이를 위한 솔루션의 75%가 여전히 미성숙 기술에 의존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테크 포 굿(Tech for Good)’이라는 기업 미션과 결합한 카본엑스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여해왔다. 카본엑스 프로그램 2.0은 CDR(이산화탄소 포집), LDES(장주기 에너지 저장장치), CCUS(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 CCU(탄소 포집 및 활용) 등 4가지 핵심 분야의 초기 혁신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수천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카본엑스 프로그램 2.0은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들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카본엑스 프로그
텐스토렌트 "한국과 깊은 역사 있어...한국과의 모멘텀 더욱 강화할 것" 텐스토렌트는 국내 대표적인 벤처캐피털 회사인 삼성증권과 AF W파트너스(이하 AFWP)가 주도한 6억93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D 펀딩 라운드를 발표했다. 이 두 회사는 텐스토렌트와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기술 기업에 투자한 경험이 풍부하다. 이번 투자에는 LG전자, 현대자동차그룹, 동운아나텍 등 주요 기업과 다수의 국내 투자자들을 비롯해, 베조스 익스페디션과 베일리 기포드와 같은 세계적인 투자사들도 참여했다. 텐스토렌트는 자체 개발한 텐식스 코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용 컴퓨터를 설계하고 판매하는 회사다. 하드웨어 판매 외에도, 텐스토렌트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스택을 제공하여 시장 내 다른 경쟁사와 차별화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텐스토렌트는 AI 및 RISC-V 지적 재산권(IP)을 라이선스하여 고객들이 자신만의 맞춤형 실리콘을 설계하고 소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시리즈 D 펀딩을 통해 텐스토렌트는 오픈 소스 AI 소프트웨어 스택 개발, 개발자 채용, 글로벌 개발 및 설계 센터 확장, AI 개발자를 위한 시스템 및 클라우드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스위프트엠알, MRI 가속화 영상 복원 솔루션으로서 사용 사례 공유돼 에어스메디컬은 ‘2024 북미 영상의학회(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2024)’에서 자사 ‘스위프트엠알(SwiftMR)’의 실제 미국 사용 케이스 3곳에 대해 발표했다. 스위프트엠알은 MRI(자기공명영상장치) 가속화 영상 복원 솔루션이다. 지난 1일 열린 Lunch&Learn에서는 아미쉬 도쉬(Amish Doshi) 교수가 좌장을 맡고, 티모시 데이어(Timothy Deyer) 교수와 크리스 보울류가 각각 스위프트엠알 사용 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티모시 데이어 교수는 East River Medical Imaging에서 임상적인 측면에서의 스위프트엠알 사용 후기를 발표했다. 그는 “폐소공포증, 노년층 등 긴 MRI 촬영 시간에 대해 힘들어하는 환자 대상으로 스위프트엠알을 도입해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다. 특히, Hip의 경우 평균 촬영 시간이 54% 단축됐다. Hip 외 다른 부위까지 포함할 경우 평균 촬영 시간이 35% 단축됐으며, 촬영량은 약 50% 증가했다고 티모시 데이어 교수는 발표했다. 크리스 보울류 매니저는 Naugatuck Val
다양한 경량화 설치형 모델과의 협업 공유해 포티투마루가 ‘소프트웨이브 2024’에서 생성AI 기반 AI Agent를 통한 AX사례를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12월 4일(수)부터 6일(금)까지 3일간 삼성동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되는 ‘소프트웨이브 2024’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및 다양한 부처 및 기관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디지털 대전환, 소프트웨어가 미래다’를 슬로건으로 300개사 550부스의 기관, 기업 및 학계가 참여하며 전시, 서밋, 해외바이어 수출상담회 및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포티투마루는 1층 A홀 전시장 입구 안쪽에 위치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특별관 입구에 부스를 준비하여 자체 초거대 언어모델인 LLM42, 네이버의 경량화 LLM인 하이퍼클로바X-DASH의 설치형 모델인 HCX42, 엘지 유플러스의 익시젠 및 구글 제미나이 프로 등 다양한 경량화 설치형 모델과의 협업을 소개한다. 또한, 초거대 언어모델 활용의 핵심인 검색증강생성 기술인 RAG42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전문가 업무 지원 AI Agent인 ‘DocuAgent42’의 AX(AI Transformation)
아마존 EC2 인스턴스 비롯해 트레이니움2 울트라서버, 차세대 트레이니움3 칩도 공개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오늘 AWS 리인벤트(re:Invent)에서 AWS 트레이니움2 칩 기반의 아마존 EC2 인스턴스를 공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거대언어모델(LLM) 및 파운데이션 모델(FM)의 학습과 추론을 지원하는 트레이니움2 울트라서버와 차세대 트레이니움3 칩도 함께 공개했다. 아마존 EC2 Trn2 인스턴스(이하 Trn2 인스턴스)는 16개의 트레이니움2 칩을 탑재하여 최대 20.8 페타플롭스(PF)의 연산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수십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LLM의 학습 및 배포에 적합하다. Trn2 인스턴스는 동일한 비용으로 기존 GPU 기반 EC2 P5e 및 P5en 인스턴스 대비 30~40% 더 나은 가격 대비 성능을 제공하며, 메모리 대역폭도 크게 개선되어 비용 효율성이 뛰어나다. 아마존 EC2 Trn2 울트라서버(이하 Trn2 울트라서버)는 완전히 새로운 EC2 제품군으로, 초고속 뉴런링크(NeuronLink) 기술을 사용해 64개의 트레이니움2 칩을 연결하여 최대 83.2 피크 페타플롭스의 연산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단일 Trn2 인스
‘워크플로(Workflow) 간소화’라는 글로벌 경향이 제조 업계에도 수많은 요구사항을 양산하고 있다. 이 중심에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토대로 한 디지털 전환(DX)이 자리 잡고 있다. 데이터 기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수작업에 의존한 기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것이 업계가 지향하는 워크플로 방향성이다. 특히 제조업에서 주목하는 워크플로 최적화 영역은 ‘설계’단이다. 제품 디자인부터 공정 효율 극대화를 이끄는 설비 설계까지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설계 솔루션 업체 ‘오토데스크(Autodesk)’는 이 과정에서 ‘Product Design & Manufacturing Collection(이하 PDMC)’ 플랫폼을 내세운다. PDMC는 ‘AutoCAD’, ‘Inventor’, ‘Inventor Add-in’ 등 오토데스크의 각종 솔루션을 한데 융합한 턴키 설계 솔루션 플랫폼이다. 오토데스크 관계자에 따르면 이 플랫폼을 통해 개발·출시 기간 단축, 생산 비용 절감, 설계최적화, 제품 품질 향상 등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오토데스크는 유동해석(CFD) 솔루션을 통해 설계 엔지니어 중심으로 설계 최적화 인사이
‘워크플로(Workflow) 간소화’라는 글로벌 경향이 제조 업계에도 수많은 요구사항을 양산하고 있다. 이 중심에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를 토대로 한 디지털 전환(DX)이 자리 잡고 있다. 데이터 기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수작업에 의존한 기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것이 업계가 지향하는 워크플로 방향성이다. 특히 제조업에서 주목하는 워크플로 최적화 영역은 ‘설계’단이다. 제품 디자인부터 공정 효율 극대화를 이끄는 설비 설계까지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설계 솔루션 업체 ‘오토데스크(Autodesk)’는 이 과정에서 ‘Product Design & Manufacturing Collection(이하 PDMC)’ 플랫폼을 내세운다. PDMC는 ‘AutoCAD’, ‘Inventor’, ‘Inventor Add-in’ 등 오토데스크의 각종 솔루션을 한데 융합한 턴키 설계 솔루션 플랫폼이다. 오토데스크 관계자에 따르면 이 플랫폼을 통해 개발·출시 기간 단축, 생산 비용 절감, 설계최적화, 제품 품질 향상 등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오토데스크는 유동해석(CFD) 솔루션을 통해 설계 엔지니어 중심으로 설계 최적화 인사이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지난 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알리바바 클라우드 파트너 서밋 2024’에서 자사의 AI 중심 파트너 생태계 계획인 ‘알리바바 클라우드 파트너 레인포레스트 플랜’(Alibaba Cloud Partner Rainforest Plan)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AI 파트너 가속화 프로그램, 강화된 인센티브 프로그램 및 서비스 파트너를 위한 글로벌 전략 재정비를 포함한 새로운 활동들을 통해 진행된다. 글로벌 파트너의 성장을 지원하고 전 세계 여러 산업 내 기업들이 비즈니스를 위한 최첨단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을 빠르게 개발하고 구축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안됐다. 셀리나 위안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글로벌 사업 부문 회장은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협업이 혁신을 앞당기고 성장을 이끄는 핵심 요소라고 믿는다”며 “AI 시대의 새로운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데 있어 글로벌 파트너들은 단순한 참여자가 아니라 설계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번에 개편된 글로벌 파트너 생태계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AI 시대의 혜택을 누리고 전 세계 고객의 다양한 비즈니스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급증
Z세대, 비즈니스, 크리에이터 및 릴스 트렌드 발표 인스타그램이 2024년 한 해를 돌아보는 연말결산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올 한 해 동안 인스타그램에서 주목받은 Z세대, 비즈니스, 크리에이터 및 릴스 트렌드를 발표했다. 내년 15주년을 앞두고 있는 인스타그램은 전 세계 10억 개 이상의 계정이 활동하는 대표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서, 매해 연말 인스타그램에 새롭게 나타난 트렌드와 커뮤니티의 변화를 소개한다. 김진아 메타코리아 대표의 인사말로 포문을 연 이번 행사에는 정다정 인스타그램 홍보 총괄, 박기영 메타 크레이이티브숍 총괄, 김나영 메타 글로벌파트너십 총괄이 발표자로 나서 인스타그램 속 국내 Z세대 트렌드, 기업 및 브랜드 마케팅 트렌드, 크리에이터 및 릴스 트렌드 등 총 세 개의 세션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정다정 총괄은 인스타그램 내에서 형성된 새로운 Z세대 트렌드와 문화를 소개했다. 올해 가장 두드러진 트렌드는 ‘정제되지 않은 콘텐츠’다. 그는 “최근 인스타그램에서 완벽하게 연출된 게시물보다는 자연스러움을 담은 콘텐츠가 각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일례로, 올해는 인스타그램 피드에 마치 디지털 일기처럼 꾸밈없이 여러 장의
팀뷰어(TeamViewer)가 ‘팀뷰어 스마트 서비스’를 4일 발표했다. 애프터 세일즈 지원을 위해 개발된 팀뷰어 스마트 서비스 솔루션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체(OEM)가 고객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지원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한 팀뷰어 스마트 서비스는 제조업체가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며, IT 및 운영기술(OT) 환경 전반에 걸친 복잡한 운영을 간소화할 수 있게 지원한다. 최근 딜로이트 조사에 따르면, 제조 산업에서 예기치 못한 다운타임은 연간 50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중단은 재무 및 운영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2030년까지 제조업 부문에서는 210만 명의 숙련된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1조 달러가 넘는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팀뷰어 스마트 서비스는 엔터프라이즈급 원격 액세스 및 제어 기능과 증강현실(AR) 기반의 원격 지원 기능을 통합해 운영기술(OT)사례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제조업체는 서비스 수준을 개선하고 높은 수준의 효율성과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과 최신 게이밍 기능 제공해 인텔은 인텔 아크 B-시리즈 그래픽카드 신제품(코드명 배틀메이지)를 발표했다. 인텔 아크 B580 및 B570 GPU는 대다수의 게이머가 접근 가능한 가격대에서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과 최신 게이밍 기능을 제공하며, AI 워크로드를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인텔 Xe 매트릭스 익스텐션(XMX) AI 엔진이 포함되어 성능, 시각적 유동성 및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3개 기술로 구성된 최신 XeSS 2를 지원한다. 인텔 비비안 리엔(Vivian Lien) 클라이언트 그래픽 부문 총괄 매니저는 “새로운 인텔 아크 B-시리즈 GPU는 게이머를 위한 완벽한 업그레이드 제품이다. 이 제품은 XeSS 2, 2세대 레이 트레이싱 엔진, XMX AI 엔진을 통한 뛰어난 1440p 게이밍 경험과 최고의 가격 대비 성능을 제공한다”라며 “역대 최대 규모의 파트너들과 함께 게이머가 완벽한 디자인을 찾을 수 있도록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인텔 아크-B시리즈 GPU는 인텔의 최신 Xe2 아키텍처를 사용하며, 향상된 효율성과 더 높은 코어당 성능을 제공하고 소프트웨어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최적화했다. 2세
디지털화(Digitalization), 인공지능(AI), 차세대 로봇, 넷제로(Net-Zero), ESG 등 글로벌 트렌드는 전 세계 산업의 변혁을 이끌고 있다. 특히 인력난·고령화·지능화 등으로 변화의 요구에 직면한 제조 산업은 앞선 트렌드를 체제 안에 녹여 새로운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제조업은 글로벌 산업의 뿌리임과 동시에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는 만큼 최신 경향에 민감한 분야로 평가된다. 이에 제조 고도화를 이끄는 국가·기관·기업 등 이해관계 주체는 제조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앞선 트렌드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차세대 혁신을 바라보는 제조 산업에 매년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대표 전시회가 개막 초읽기에 돌입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이하 AW)'은 국내 최대 규모로 열리는 연례 제조 페스티벌이다. 지난 1990년을 시작으로 매년 제조업에 앞선 시각을 제시한 해당 전시회는 내년 35회차를 맞아 차별화된 제조의 미래를 조망할 예정이다. AW 2025는 내년 3월 12일부터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개막한다. '제35회 국제공
AI 기반 학습 플랫폼 ‘콴다’를 운영하는 매스프레소는 이용재 대표가 ‘제25회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2024 소프트웨어 산업발전 유공자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은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과 위상을 높인 인물들의 공로를 치하하고자 마련된 행사다. 산업인의 위상과 사기를 고취하고, 산업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이용재 대표는 전 세계 9800만 학생이 사용하는 인공지능 학습 플랫폼 ‘콴다’를 통해 맞춤형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트래픽을 활용한 데이터 선순환 구조와 이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독보적인 문제 검색 서비스를 구축한 점이 주요 평가 요인으로 꼽혔다. 이와 함께 학생 학업 수준을 분석하고 필요한 커리큘럼과 문제를 추천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한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콴다는 세계 50여 개국에서 매월 80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누적 검색 수는 70억 건에 달한다.
클라우데라가 아마존 웹 서비스(AWS), 스노우플레이크를 통합한 포괄적인 생태계 출범을 발표했다. 클라우데라와 AWS는 2023년부터 기업용 AI 생태계를 출범해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10월부터 생태계 확장을 위해 스노우플레이크도 이에 합류해 클라우데라, AWS, 스노우플레이크 3자 간의 통합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로써 AWS 고객은 최신 데이터 아키텍처를 통해 유연성, 데이터 유용성 및 복잡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워크로드를 스노우플레이크, 클라우데라에 더해 아마존 S3, 아마존 EKS 등 AWS의 고유한 서비스에 더욱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이번 협업을 통해 각 기업의 고객은 ▲끊김없는 데이터 공유 및 상호운용성 ▲AI/ML 성능 향상 ▲클라우드 투자 극대화 ▲멀티 클라우드 전략 지원 ▲확장 가능하고 안전한 데이터 관리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클라우데라를 하이브리드 워크로드에 사용하는 AWS 고객은 이제 데이터를 인프라 간에 이동하지 않고도 스노우플레이크로 분석 워크플로우를 확장해 더 깊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며, 클라우데라의 데이터 처리 기능과 스노우플레이크의 분석 기능을 결합해 효율적인 AI/ML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아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