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생산자물가 0.3% 상승…폭염·장마에 시금치 204%↑·배추 47%↑
전력·도시가스, 여름 성수기 서비스 요금 등이 오르면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7개월 연속 상승했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는 6월보다 0.3% 오른 120.47(2015년 수준 100)으로 집계됐다. 올해 1월 이후 7개월 연속 상승세다.
하지만 상승률(전월 대비)은 4월(1.6%) 이후 5월 0.7%, 6월 0.6%를 기록하는 등 계속 낮아지고 있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공산품이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월보다 0.6% 내렸으나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이 도시가스 중심으로 올랐으며 서비스도 음식점, 숙박 서비스, 운송 서비스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 등락률(전월 대비)을 보면 농림수산품은 4.1% 올랐다. 축산물(-2.0%)과 수산물(-3.5%)은 하락했지만, 농산물이 11.9% 뛰었다. 폭염, 장마 등 기상 여건이 악화하면서 농산물의 출하량이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공산품은 0.6% 내렸다.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석탄·석유제품이 3.6%, 제1차금속제품이 2.9% 내렸다.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전월 대비 3.9% 올랐다. 특히 전력, 가스 및 증기가 4.8% 상승했다. 도시가스, 산업용 전력 요금 등이 오른 영향이다.
서비스업 물가는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1.3%), 운송(1.3%) 등이 오른 영향으로 0.6% 상승했다. 서 팀장은 "식자재비와 인건비가 오르고 여름 성수기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시금치(204.0%), 배추(47.0%), 호텔(16.4%), 식용정제유(13.4%), 건설중장비임대(10.5%) 등이 많이 올랐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한 달 새 0.7% 올랐다. 원재료(4.5%), 중간재(0.1%), 최종재(0.5%)가 모두 오른 영향이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7월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과 같았다. 서비스(0.6%) 등이 올랐으나 공산품(-0.7%)이 내렸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