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인공관절 수술,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살펴야”

URL복사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 또는 외상, 지속적인 무릎 사용 등에 의해 관절 사이에 있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며 염증과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목, 발목, 어깨 등 관절이 있는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지만 무릎에서 발병률이 높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질환은 방치할수록 연골이 점점 닳아 없어지게 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피가 흐르지 않는 연골은 한 번 닳기 시작하면 회복이 어려워 말기에 이를수록 비수술적 치료만으로 증상을 완화하기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관련 전문의들에 따르면 인공관절 수술은 손상된 연골을 제거하고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인공관절을 손상된 관절면에 끼워 넣는 수술로, 관절 간의 마찰을 줄여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감소와 운동 범위 회복에 효과적이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이와 관련 한국인의 신체와 관절에 맞는 치료가 바람직하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3D 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수술 등 방법이 있다”면서 “이 수술은 사전에 3D 시뮬레이션으로 정확한 무릎의 형태를 확인하고, 3D 프린터를 이용해 개인의 무릎에 맞는 맞춤형 수술도구(PSI)를 제작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술 시 사용되는 3세대 인공관절은 기존 인공관절보다 다양한 두께와 크기의 옵션 선택이 가능한 인공관절로, 개인 무릎 관절 형태를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