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전립선비대증 치료, 검사 결과에 따라 방법 달라져

URL복사

전립선비대증은 중장년층에게 흔히 발생하는 비뇨기 질환이다. 전립선의 세포 조직이 계속 증식하면서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부풀며 요도를 압박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들은 빈뇨, 잔뇨감, 단절뇨, 절박뇨, 야간뇨, 배뇨 지연 등의 다양한 배뇨장애 증상에 시달리기 마련이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발병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다만 환자 대부분이 고령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노화와 관련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중장년층이라면 정기적인 전립선 검사를 시행해 비대증 여부를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게 전문의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전립선 검사 방법으로 환자 개인별 병력 청취 및 증상 평가, 직장수지검사 등이 있으며, 특히 직장수지검사 결과 조직 크기가 커진 것이 확인된 경우, 단단하거나 결절이 만져지는 경우, 비대칭적일 경우 비대증 발생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다고 한다. 이때 추가 검사를 진행해 보다 더 구체적인 증상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


요속 및 잔뇨량 검사는 이 병에 의한 배뇨 장애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외에 전립선암 진단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전립선 특이항원(PSA) 검사,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 검사, 방광 내시경 검사 등을 추가로 실시한다.


이들 전문의는 “정밀 검사 후 비대해진 전립선 크기를 개선하는 치료에 돌입한다. 증상 초기라면 대기요법, 약물요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조직이 지나치게 커져 이를 근본적으로 축소시켜야 하는 상태라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유로리프트는 비대한 전립선 조직의 좌우를 묶어 고정하는 원리다. 이 방법은 전립선 절제, 레이저 조사 등이 필요하지 않아 치료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특징인데 국소마취 후 짧은 시간 안에 치료를 마무리할 수 있고 나아가 출혈 우려도 적어 고령층의 치료 부담이 적다”고 덧붙였다.


골드만비뇨기과 서울역점 김태헌 원장은 “다만 60g 이상의 비대해진 전립선을 치료해야 한다면 홀뮴 레이저를 이용, 전립선을 감싸는 바깥 부위 막과 비대해진 전립선 사이를 통째로 분리해 체외 배출시키는 홀렙 수술을 시행한다. 피막과 비대 조직을 박리하여 전립선 비대 조직을 통째로 분리, 추출하기 때문에 출혈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그는 “레이저를 조사할 때 전립선 비대 조직과 피막의 경계를 섬세하게 구분하여 박리한다”며 “홀렙 수술은 조직을 태워 없애지 않고 비대한 전립선 조직을 완전히 제거해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은 물론 홀뮴 레이저 침투 깊이가 0.4mm에 불과해 수술 시 주변 조직 손상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