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노안·백내장, 적절한 수술 타이밍은 언제일까?

URL복사

눈은 우리에게 결코 없어서는 안 되는 신체 부위이다. 현대인들은 스마트폰, PC 등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장시간 블루라이트에 노출되고 잦은 야외 활동에 따른 자외선 노출 증가 등을 원인으로 눈의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질환을 방치하면 시력 손상이 커지면서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도 커지게 마련이다.


백내장은 노안과 함께 대표적인 노인성 안질환 중 하나로 꼽힌다. 밤낮 구분 없이 눈이 부시거나 시력이 떨어진 것 같고 시야가 흐려진다면 백내장 초기증상을 의심하는 게 좋다. 이런 증상을 단순히 눈의 피로 증상이나 노안으로 보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있지만, 증상을 조기 발견해 적절히 대처하는 게 필요하다.

 


백내장 수술의 경우, 노화된 수정체를 대신하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데 면역체계에 거부반응이 없는 물질로, 50년 이상 눈 속에서 잘 유지가 되어 100세 시대에도 문제없이 건강한 눈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그렇다면 백내장 수술 시기는 언제가 가장 적당할까. 초기에는 불편함이 거의 없어서 대부분 진행 속도를 늦추는 약물을 처방 받아 사용하기도 한다. 초기에 환자의 시력에 큰 불편이 없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없다면 당장 수술할 필요는 없다는 설명이다.


이들 전문의에 따르면 수술 시점은 의사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환자가 생활에 불편을 느낄 때이다. 고도근시여서 안경이 효과가 없거나, 원시가 심한 경우, 초기 증상임에도 불구하고 불편함을 호소할 때 수술을 권하게 된다는 것이다.


비슷한 정도의 백내장도 개개인에 따라 시력감퇴 및 일상생활에서의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백내장 진단을 받았다고 무조건 수술을 받는 것은 아니다. 보통 6개월~1년 정도의 기간마다 정기검진을 받게 되는데, 검진 시에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방치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백내장이 진행되면서 수정체가 눈 앞쪽으로 밀리거나 수정체 가까운 안구 조직에 눈물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힐 수도 있는데, 이 때 안구 압력이 높아져 급성 녹내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압구정최안과 최승일 원장은 “백내장 수술은 5~10분 정도 소요되고 수술 과정은 혼탁하게 변한 수정체를 없애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원리로 진행된다. 인공수정체는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한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미세절개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통증이 적고 비교적 수술 시간이 짧아 빠르고 안정적인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간혹 드물지만 백내장 수술 후 녹내장, 망막 부종,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매우 낮고 수술 후 정기적인 진료를 통해 빠른 대처가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술 후 만족스러운 시력을 되찾게 된다”고 덧붙였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