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나 노령화에 의해 치아가 약해져 손실된 자리에는 자연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치아, 즉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 등으로 자연치아를 대체할 수 있다.
전문의들은 이러한 손실된 자리를 오랫동안 방치하였거나 오랜 시간 틀니로 치아를 대체하고 있었다면 그 자리는 잇몸이 녹아내려 있을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경우 자연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워질 수 있어 인공뼈를 식립하는 방법인 뼈이식 임플란트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들에 따르면 뼈이식 임플란트는 치아가 상실된 채 장기간 방치되었거나 잇몸질환으로 치조골이 녹아내리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잇몸 뼈가 약하거나 부족한 경우에 뼈이식재를 사용하여 잇몸뼈를 보강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이다.
임플란트는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잇몸 뼈에 자연치아와 유사한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방법인데 잇몸의 뼈가 가라앉은 경우에는 제대로 식립할 수 없기 때문에 수술을 가능하기 위해서는 그 환경을 조성해주는 시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는 설명이다.
뼈의 양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식립이 이루어진다면 금방 흔들리거나 염증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오히려 인공뼈의 이식으로 인해 새롭고 튼튼한 뼈대를 만들어주는 것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덧붙인다.
호산나치과 구하라 대표원장(평촌점)은 “한번 소실된 잇몸 뼈는 스스로 재생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뼈이식 임플란트는 얼만틈 탄탄하게 뼈이식을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성공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정밀 검사를 통해 잇몸뼈의 함몰 정도, 신경과 혈관 위치, 인공뼈 종류, 자연치아와 유사한 심미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환자의 특성에 따라 치료를 적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자신에게 잘 맞는 뼈이식 종류를 선택하여 진행했다면 그 후에 따른 관리도 중요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외부로부터의 방어와 재생에 관여해주는 치주인대가 없기 때문에 관리 소홀할 경우 잇몸질환에 매우 쉽게 이환될 수 있다. 또 일단 잇몸질환에 이환되면 자연치아에 비해 급속도로 뿌리 끝까지 진행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