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 등 관리를 해도 입냄새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위장 질환이 있는지 의심해볼 수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그 원인이 담적병이나 역류성 식도염 같은 위장 질환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담적병은 위장관 안에서 소화되지 못한 음식물 찌꺼기 등이 부패함으로 인해 형성된 담음이라는 독소가 위장관 내부에 쌓여 단단하게 굳어지는 현상이다. 위장 외벽이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내부 위장의 운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소화 불량이 오기 쉽다는 게 이들 전문가의 설명이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질병이기 때문에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방치한다면 위 점막이 얇아지는 만성위축성위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이들은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 위장의 기능이 저하되며 식도와 위 사이를 막아주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약해져 음식물과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식사 후 속이 쓰리거나, 명치가 따끔거리고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이들은 “역류한 위산은 입냄새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식도와 인후부 점막에 염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담적병도 방치하면 속쓰림, 가슴 통증, 구토감, 목소리 변화 등의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입냄새가 동반돼 나타나며, 만성위축성위염이 지속되면 발생하는 장상피화생이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소위 속에서 올라오는 입냄새의 원인이 역류성 식도염 증상 등으로 인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담적병과 위염 치료를 받아보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인다.
제일경희한의원 강기원 원장은 “이 같은 질병은 자극적인 음식 섭취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배달음식을 자제하거나 식사 후에 눕지 않는 등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장 질환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면 한방에서는 위장에 쌓인 독소 제거 등을 시행한다”며 “망가진 체내 소화기관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한약과 침 치료를 실시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개인 체질을 파악해 증상 정도에 따라 적합한 약재를 처방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