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나 축구 같은 스포츠는 스트레스 해소 및 체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스포츠 경기는 전속력으로 달리거나 높게 점프를 하고, 상대편 선수를 밀치는 등 동작이 과격해 자칫 부상 당할 위험이 높다.
경기를 뛰고 난 후에 경미한 무릎통증이 나타났다면 무릎 힘줄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무릎 힘줄염의 경우에는 무릎통증이 나아질 때까지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약물 복용 및 찜질, 스트레칭 등을 하는 것이 좋다.
통증이 심하면 병원에서 물리치료 및 주사요법 등을 진행하는 것이 호전에 도움이 된다. 만약 무릎을 강하게 부딪치거나 무릎이 비틀리는 등 부상 후에 무릎통증이 나타났다면 전방십자인대 파열 또는 반월상연골판 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구조물로 무릎관절이 비틀리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꺾어지는 부상에서 파열되기 쉽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무릎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며 무릎이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관절 사이에 있는 연골로써 내측과 외측에 각각 하나씩 자리하고 있으며 관절의 마모 방지, 충격 흡수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반월상연골판에 파열이 발생하면 무릎통증뿐만 아니라 압통, 잠김 현상, 무력감 등의 증상이 느껴지고, 계단이나 평지를 걷다가 갑자기 다리에 힘이 풀리거나 찌릿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반월상연골판의 경미한 손상은 약물 및 주사 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파열이 심할 경우에는 파열 양상에 따라 파열된 부위를 봉합하거나 절제하는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상범 원장은 또 “전방십자인대의 경우 파열이 경미하면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지만, 범위가 크거나 조직이 완전히 끊어졌다면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재건술을 고려해야 한다”며 “파열을 오래 방치하면 무릎의 다른 구조물에까지 나쁜 영향을 끼쳐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