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평생 동안 사용해야 하는 치아는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무엇보다 자연 치아를 오래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만일 자연 치아를 상실한 경우에는 임플란트나 틀니 등을 통해 대체해볼 수 있다.
임플란트의 경우, 주변 치아를 건들이지 않고 상실한 위치에 인공 치근을 식립하기 때문에 자연 치아의 80%이상의 저작력을 회복해볼 수 있다는 게 관련 전문의들의 설명이다.
이들에 따르면 치아가 상실된 채 오랜 시간이 흘렀거나 치주 질환 등으로 인해 잇몸 뼈가 부족한 경우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울 수도 있다. 임플란트 식립 시 인공치근이 단단히 고정되지 않아 잇몸 손상 및 재수술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전문의는 이런 경우 고려해볼 수 있는 방법으로 뼈이식 임플란트를 꼽는다. 뼈이식 임플란트는 자신의 뼈나 인공 뼈 등 환자의 구강 구조와 잇몸 뼈 상태에 적합한 이식재를 통해 임플란트가 단단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주는 방법이다.
다만, 환자마다 잇몸 뼈의 양과 상태, 잇몸의 상태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담당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적합한 이식재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노현기 에스플란트치과병원 원장은 “뼈이식 임플란트는 난이도가 높은 시술인 만큼 의료진의 숙련도와 기술력 등에 의해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며 “시술을 진행하기 앞서 3D-CT 검진 등을 통해 뼈이식에 필요한 양과 이식재의 종류, 수술 방법 등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시술 후 철저한 관리와 정기 검진으로 임플란트 수명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