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이란 뼈와 뼈가 서로 마찰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조물인 연골에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결국 닳아 없어진 후 마찰을 유발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초기와 중기의 관절염은 주사나 약물 치료 등을 다양한 방법의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지만, 퇴행성 관절염 말기의 경우에는 통증이 극심해 인공관절 수술 밖에 방법이 없다.
인공관절수술은 1970년경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수술법과 재료가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초기의 무릎 인공관절은 부정확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됐지만, 최근엔 수술시간이 줄어들고 정확도가 높아지면서,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최근에는 3D 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로 환자의 무릎을 구현하고, 무릎의 모양에 맞는 개인 맞춤형 수술도구 PSI(Patient Specific Instrument)를 제작해 사용하는 ‘3세대 인공관절수술’도 등장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3세대 인공관절 수술은 절삭 부위를 정확히 알 수 있고, 하지 정렬이 사전에 계산됐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짧다. 또 다양한 옵션의 인공관절 디자인으로 존 인공관절에 비해 다양한 크기와 굵기의 옵션을 제공하며, 여기에 ‘3D 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의 PSI를 개발해 개인에 맞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용곤 병원장은 “이 수술은 MRI 촬영을 통해 무릎 관절의 모양과 크기, 연골의 두께 등을 파악하고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등록해 환자의 무릎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 후 진행한다”면서 “환자의 상태와 모양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진행해야만 짧은 수술 시간과 높은 수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