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디지털라이프

오십견,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 없다면?

URL복사

신체에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 뚜렷한 원인 없이 몸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빈번해진다. 특히 중장년층 이후 사람들은 만성적인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어깨통증의 강도는 경미한 수준부터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극심한 통증까지 다양하다. 만약 심각한 어깨통증이 보름 넘도록 계속된다면 어깨 질환 발생을 의심해볼 만하다. 특히 어깨나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악화된다면 오십견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오십견은 주로 50세 전후로 발병한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여졌지만 최근에는 운동 부족 및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해 30~40대에서도 발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박근민 원장은 “오십견이 발생하면 어깨에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고, 질환이 악화될수록 팔과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능동적, 수동적 움직임이 모두 어려워지며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숙면을 취하지 못하여 수면 부족 증세가 동반되기도 한다”면서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병할 확률이 더 높은 편이며,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는 약 40%까지 발병률이 증가하니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박근민 원장은 또 “치료는 주사치료 및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을 적용하며, 중증 증상이 없을 시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진행한다. 오십견은 오래 방치할수록 치료 기간이 늘어날 수 있고, 치료 시기를 놓친다면 증상이 1년 넘게 지속될 수 있으니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며 “만약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질환에 호전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어깨관절의 유착된 부위를 박리하는 수술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