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반뉴스

중기부와 37개 상생프랜차이즈, 제로페이 확산 추진

URL복사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37개 상생프랜차이즈는 모바일 직불결제(제로페이)를 활성화하고 가맹점의 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제로페이 가맹 및 홍보를 강화하는 등 ‘상생과 공존’ 문화를 확산키로 했다.

 

7월 8일 중기부는 37개 프랜차이즈에 대해 ‘자상한 프렌즈’ 제로페이 상생 프랜차이즈 지정식을 진행하였다. 자상한 프렌즈는 '자(발적) 상(생에) (함께)한 프렌즈(프랜차이즈)'를 뜻한다.

 

이번 지정식에는 김학도 중기부 차관, 박기영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이근주 소상공인간편결제추진단장과 이범돈 크린토피아 대표이사, 심관섭 한국미니스톱 대표이사, 신호섭 아성다이소 대표이사 등 37개 프랜차이즈 대표이사와 임직원들이 참석하였다. 아울러, 부대행사로 다이소와 크린토피아의 ‘가맹점과의 상생 사례’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다이소는 ‘직영점의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가맹점에 접목시키는 방안’ 등에 대해 발표했으며, 크린토피아는 ‘가맹점이 더 좋은 상권에서 영업하기 위해 가맹점 이전할 경우 가맹본부에서 이전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37개 상생프랜차이즈는 가맹본부에서 소속 가맹점의 제로페이 가맹을 지원하고, 기존 시스템(POS)과 제로페이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및 홍보 마케팅을 지원하였거나 지원할 예정이다.

 

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 등은 지난 5월부터 POS기와 연결된 단말기로 결제하는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결제절차를 개선하여 제로페이 편의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그 외 상생프랜차이즈도 다이소*(7월 중 서비스 제공)를 시작으로, 제로 페이를 도입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중기부와 소상공인간편결제추진사업단은 상생프랜차이즈에 대해 제로페이 상생프랜차이즈 엠블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2020년부터는 유망프랜차이즈 육성지원 사업에 상생프랜차이즈가 지원할 경우, 평가 시 우대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제로페이는 도입된지 약 6개월 만에 가맹점수가 25만 개(252,715개)를 넘어섰으며, 최근에는 일 결제건수가 1만 건 이상, 금액도 2억 원을 상회하는 등 새로운 결제시스템이 정착하기에는 짧은 시간임에도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