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 소형 원전 위험징후 2초 안에 감지하는 기술 개발
-
적층 제조 설계 혁신 ‘DfAM’, 표준화 방안 제시한다
-
UNIST, 부생가스 활용해 알데하이드 생산하는 기술 개발
-
‘전기차 달리면서 충전’...UNIST, 무선 전력 공급 트랙 개발
-
UNIST, AI로 한국 폭염 예측 모델 만들어…주요 변인 파악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몽골과기대와 클라우드 생태계 협력
-
UNIST, 원자 단위 반도체 소재별 맞춤형 공정 기술 개발
-
UNIST 연구팀, 전고체 배터리 더 안전하게 활용 방법 찾아
-
KAIST, 리튬 이차전지 에너지 밀도·안정성 높이는 용매 개발
-
국내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 향상 기술 개발
-
UNIST, 고분자 고체전해질 대량 생산법 개발
-
UNIST, 나노 구조 변화로 색·모양 표현하는 기술 개발
-
UNIST, 세계 AI 학회서 컴퓨터 비전 분야 등 논문 4건 채택
-
UNIST, 대용량 수소 저장 상용화 가능성 연다
-
UNIST, 크기 1만배 키운 태양광 수소 생산 광전극 개발
-
국내 연구진, 유기 전극 배터리 수명 향상법 개발
-
UNIST, 세계 최고 공인인증효율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
정부, 반도체·배터리·바이오 특성화대학원 8곳 신규 공모
-
UNIST·KAIST 연구팀, 고효율·안정성 가진 수전해 촉매 개발
-
UNIST,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음극 중간층 삽입해 안정성↑
-
UNIST, AI 혁신의 날 열고 연구 및 사업 성과 공유해
-
UNIST, AI 활용한 6G 통신 상용화 기술 개발
-
포스코퓨처엠, 고려대와 이차전지 소재 맞춤형 인재 육성
-
UNIST 연구팀, 재활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기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