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드레스하우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 제로 선언
-
엔드레스하우저-SICK,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프로세스 자동화 시장 공략 강화
-
그리너리,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 환경영향평가 솔루션 공급
-
국내 기관 발행 ‘탄소발자국 검증서’ 해외서도 통한다
-
글래스돔, 경남테크노파크와 탄소중립 플랫폼 지원센터 구축
-
그리너리, 환경영향평가 솔루션 ‘LCA 시스템’ 선보여
-
생기원, 이탈리아 탄소발자국(CFI) 프로그램과 MOU 체결
-
누빅스, 리월드포럼서 VCP-X 기반 탄소중립 대응전략 공유
-
요꼬가와, 탄소발자국 관리 솔루션 ‘OpreX Carbon Footprint Tracer’ 출시
-
슈나이더 일렉트릭 “데이터 플랫폼·최적화·네트워크가 관건”
-
삼성SDI, 인터배터리서 전고체 배터리 양산 로드맵 첫 공개
-
삼성 Neo QLED 등 TUV 라인란드로부터 탄소저감 인증
-
삼성전자 생활가전, 영국 ‘탄소발자국’ 인증 획득
-
LG디스플레이 IT용 하이엔드 LCD 패널, 친환경 제품 인증 획득
-
SK C&C,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 개발…제조업 수출에 도움 기대
-
랑세스, 메자몰 가소제 전 제품군 저탄소 제품으로 전환
-
에코프로비엠,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폐기물 재활용률 99.4%
-
환경부, 배터리업계와 스코프3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 마련
-
LG화학,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방식 국내 최초 TUV 라인란드 인증 획득
-
포티넷 자체 물류 창고,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
-
2차전지 산업 이끄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 변수는?
-
셰플러그룹 “2040년부터 모든 생산·공급망에 기후 중립 경영”
-
누빅스, 독일서 탄소중립·ESG 완성할 데이터 호환 플랫폼 전시
-
LGD OLED TV 패널, 업계 최초 '탄소발자국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