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 피부처럼 늘어나는 고해상도 공감각 디스플레이 개발
-
KAIST, 유독물질 뺀 초고해상도 QLED 신기술 개발
-
UNIST 연구진, 프러시안계 물질 적용한 고체 전해질 개발
-
[IAR] 어플리케이션 보안, 이제는 쉽고 간편하게
- 2023-09-22 16:10
- IAR 김진형 FAE
-
KAIST, 생체조직신호 정밀 측정하는 AI 영상 분석 기술 개발
-
KAIST-LG엔솔, 고용량 배터리 수명 향상 원리 영상화
-
KIST, 사람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신경회로 플랫폼 개발...“인공 망막 연구에 도움”
-
제조업의 DX화…디지털 기술을 치수 계측
- 2023-09-17 10:49
- 쿠리야마 유키오, 어큐어티주식회사
-
AI를 활용한 화상 센싱
- 2023-09-17 10:21
- 사이토 히데오, 게이오기주쿠대학 이공학부 정보공학과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스마트 팩토리’,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 2023-09-06 15:54
- 박신석 교수,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UNIST 연구진, 실리콘 음극재 평가 분석 프로토콜 제시
-
UNIST, 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개발
-
무인 항공기용 머신비전 렌즈 설계 시 주의할 점은?
-
KAIST, 차세대 3D 홀로그래픽 이미징 센서 기술 개발
-
KAIST·POSTECH 연구팀, 백금 대체할 비귀금속 촉매 개발
-
국내 연구진, 수소·전기 양방향 생산 가능한 전지 전극촉매 개발
-
KAIST, 색이 변하는 고효율 스마트 유연전지 개발
-
고정밀 이미지 데이터 위한 스마트한 냉각 기술
-
국내 연구팀, 고효율·대면적 유기 태양전지 소재 개발해
-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로봇 혁신
- 2023-08-16 12:26
- 데이비드 H. 프리드먼
-
[Success Story] netX 90-IoT 솔루션 펌웨어
-
UNIST, 테프론 활용 불화탄소 제조법 개발...저장용량 흑연 대비 10배↑
-
[JAI] 스펙트럼 이미징을 통해 과일 수확량 추정하기
-
사이버 시큐리티 리스크 동향
- 2023-08-06 13:47
- 미야치 토시오, 일반사단법인 JPCERT 코디네이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