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학계로부터 전고체전지 상용화 기술 성과 '주목'
-
새로운 방식의 전도성 고분자 기반 전기화학 다이오드 소자 개발
-
UNIIST·원자력硏·서울대, 배터리 폭발 해결 열쇠...양극 내 산소 발생 현상 규명
-
폐PU를 새PU로 되살리는 친환경 기술 국내 최초 상용화
-
KAIST, 고무 형태 고분자 전해질 개발…한번에 800km 주행
-
KAIST, 엔비디아 GPU보다 7배 빠른 '홀리스틱 GNN' 개발
-
재료연구원-인하대, 다기능성 탄소나노튜브 섬유 기술 개발
-
위험한 전기설비, 문 열지 않고 내부 상태 확인한다
-
UNIST 연구팀, '햇빛, 산소'로 자동차 내장재·화장품 원료 만든다
-
-
[계측 기술-②] 저가격 LiDAR를 탑재한 UAV 역할과 기술 과제
- 2022-01-04 14:10
- 나카가와 마사후미
-
-
이더넷-APL : 프로세스계장 자동화 연결의 미래
- 2022-01-04 11:00
- 조영익 ODVA KOREA 전무
-
[CASE STUDY] SBB Cargo와 PJM, ‘지능적인 화물 열차’ 공동 개발에 필츠 PSS 400 도입
-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스마트 X시대 IoT 센서 데이터 폭증의 새로운 해결책 ‘글로벌 메가트렌드 TSDB’
- 2022-01-03 10:20
- 김성진 마크베이스 대표
-
“반도체도 1+1 박막 앞뒷면 모두 반도체 만들어내는 기술 나와”
-
KRISS-건국대 공동연구팀,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개발
-
UNIST, '배터리 발화 원인' 양극 내 산소 발생 현상 규명
-
국내 대학연구팀, 친환경 수소 제조 기술 개발
-
[TECH REPORT-AI검사장비⑤] C사 상품 포장과 라벨 검사 위한 AI검사 도입 사례
-
-
[온세미]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 구현 위한 전력 솔루션
-
[TI] 슈퍼커패시터로 예비 전력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 ‘MQTT’
- 2021-12-27 13:57
- 에릭 하이저 유블럭스 서비스 제품 센터 총괄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