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새로운 3차원 노광 공정 개발...차세대 반도체 나노구조 공정 혁신
-
KAIST “수천년간 해결 안 된 난제 '마찰전기 발생 원리' 규명”
-
디지털트윈 활용 나사 풀림 감지하는 지능형 금속 부품 개발
-
한양대 연구진, 가상현실 촉각으로 전달하는 신기술 개발
-
옵저버빌리티 솔루션의 숨은 조합 ‘AI 기반 IT 운영’과 ‘머신러닝’
- 2022-05-25 17:19
- 토마스 라로크 솔라윈즈 헤드긱
-
“역발상 그래핀쉘 적용, 연료전지 및 이차전지의 비활성화 억제, 내구성 200% 이상 향상 성공”
-
국내 연구진, ‘청정수소’ 생산가격 낮출 새로운 촉매 개발
-
한국세라믹기술원, 태양광 폐패널에서 자원 회수 기술 개발 추진...은·실리콘 회수
-
“AI에 물리 지식 더해 배터리 용량 예측 성능 최대 20% 높여”
-
반도체 특성 띤 새로운 2차원 탄소 동소체 개발...광전자공학, 촉매, 센서 등에 활용 기대
-
“수소연료전지 성능 향상으로 대형 모빌리티로 활용처 넓혔다”
-
플라스틱 용기 '초고속' 분해 효소 발견...16시간 만에 90% 분해
-
[TECH NOTE] 3D 검사의 추세는 엣지 컴퓨팅, 가속, IIoT용 3D 스마트 센서
-
[케이스 스터디] 효율적인 빈 픽킹 애플리케이션을 3주 이내에 구축하는 방법
-
국내 대학 연구팀, 나노 갭 구조 제어한 금나노입자 기술 개발
-
서울대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
벽 속 방사능, 해체 현장에서 바로 측정한다...“측정시간 10분의 1로 단축”
-
일상생활에서 전기를 생성하는 초박막 고효율 압전 소자 개발
-
-
LG화학-KIST, 전기로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
‘더 세게, 더 멀리’ 스핀하는 적외선 찾았다...“빛 이동량은 파장 10배, 효율은 70%”
-
코로나, 독감 꼼짝 마 기술 나왔다...코로나 바이러스 99% 사멸시키는 필터 개발
-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와이드 밴드갭 반도체의 이점 활용법
-
이더넷 전원 장치(PoE) 기반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
- 2022-05-02 17:44
- 마이크 샌딕 온세미 제품 마케팅 관리자